티스토리 뷰
목차
놓치면 최대 100만원 손해! 청년기본소득 신청 자격만 확인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데 70%가 몰라서 놓치고 있습니다. 현재 2025 청년기본소득 4분기 신청을 받고 있으니, 지금 바로 5분 투자로 혜택 확인하세요.
청년기본소득 신청기간
청년기본소득이란? 경기도 청년들의 사회적 기본권 실현을 위한 경기도형 기본소득제도입니다.
청년기본소득은 온라인 신청이 가장 빠르고 간편합니다. 잡아바 어플라이 홈페이지에서 24시간 신청 가능하며, 모바일로도 접수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청년기본소득 1분기 신청기간: 2025.03.01. ~ 03.31.
* 2025년 청년기본소득 2분기 신청기간: 2025.05.01. ~ 05.30.
* 2025년 청년기본소득 3분기 신청기간: 2025.07.01. ~ 08.11.
* 2025년 청년기본소득 4분기 신청기간: 2025.10.15. ~ 11.24.
분기별 신청기간 첫날의 9시 ~ 마지막날 18까지 신청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문의는 경기도 콜센터(031-120), 경기도미래세대재단 콜센터(1877-0566), 신청자 주소지 시·군청에 하시기 바랍니다.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자격 확인
신청일 기준으로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24세 청년 중, 3년 이상 계속 거주자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자라면 청년기본소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성남시는 조례폐지, 고양시는 시비 미편성으로 2025 청년 기본소득 사업을 중단하였기 때문에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 초본상 주소지가 성남시·고양시인 경우에는 청년기본소득 지급이 불가합니다.
2단계: 서류 준비
신청서, 신청기간 내 발급받은 주민등록초본(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 동의 시 주민등록초본 자동 제출),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해당자에 한함) 등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합니다.
3단계: 온라인 접수
잡아바 어플라이 사이트 접속 → 회원가입 → 신청서 작성 → 본인 인증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지급방식 및 사용처
지역마다 지급방식이 다릅니다. 거주지역 확인하고 최대 혜택 받으세요.
지급방식
청년기본소득은 1인당 분기별 25만원(최대 10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원합니다.
- 시흥, 김포: 모바일 / 그 외 시·군: 카드
- 지급된 지역화폐 유효기간: 3년, 기한내 미사용시 소멸됨 (시흥·군포·과천: 5년)
사용처
주민등록표 초본 주소지 시·군 내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학원수강료 및 시험응시료는 경기도 전역 및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합니다.(온라인의 경우, 지역화폐 결제수단이 연동된 사용처에 한함)
신청 전 주의사항
가장 흔한 실수는 서류 미비와 신청기간 놓치기입니다. 특히 서류는 발급일자가 중요하니 신청 직전에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 신청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날짜를 미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서류는 신청일 현재 발급분, 발생일·신고일·변동사유, 최근 5년(3년 이상 계속 거주) 또는 전체(합산 10년이상 거주) 주소변동이력,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